한 오케스트라의 멤버로서 연주한다는 것은 그저, '함께' 앉아서, 같은 템포로 한 지휘자의 지시대로만 연주한다는 것만이 아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무엇인가 할 말이 있는 사람이 하고 있는 말을 주의깊게 들으면서,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말을 할 수 있게 해준대로, 나도 그들에게 나의 말을 할 수 있게 되는 그런 것이다. 예를 들면, 한 팀파니 연주자는 아무 생각없이, 그저 정확하게 박자 수만 세고 있다가, 혹은, 지휘자가 그에게 신호를 해주는대로만, 연주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계속해서 그 오케스트라가 펼쳐 내고 있는 음악적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가, 지금 무슨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나름대로 이해하고 있는대로의 이야기를 함께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함께 연주한다는 것은 우리가 함께 살아나가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서로에게 귀를 기울이고, 이 세상에 공존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한다는 것이다. ' 귀기울인다'는 말은 문자 그대로의 뜻만은 아니다. 그것은 서로 대화하고 이해하고 결국은 사랑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한다는 뜻이다. 그냥,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고 말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의 한 구성원으로서,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노력의 결과, 서로를 돌보면서 함께 살아가게 되는 그런 일이다.
12월 23일,
집으로 돌아 오는 길, 댄버와 수 폴즈 사이의 비행기 안에서...
As members of an orchestra, we don't happen to play "together" because we are in the same tempo, dictated by a conductor. Instead, we actually pay attention to each other, listen to whoever that has something to say, able to express ourselves because others would listen and allow you to speak. For example, the timpani does not start playing his part because he counted the correct number of blank.measures, or because the conductor cued him. Instead, he continues the musical story that has been unfolding by others by knowing what has been told and how it's been told as a result of tentative listening.
Playing together means we listen to each other, just what we have to do to live together, to co-exist in this world. "Listen" doesn't just mean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 It means we do everything we can to communicate, understand, and ultimately love each other. Not because he or she happens to look a certain way or say a certain thing, but because as members of this world, we actually pay attention to each other and care for each other so we can live together.
-In the flight back home, somewhere between Denver and Sioux Falls.
한 오케스트라의 멤버로서 연주한다는 것은 그저, '함께' 앉아서, 같은 템포로 한 지휘자의 지시대로만 연주한다는 것만이 아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무엇인가 할 말이 있는 사람이 하고 있는 말을 주의깊게 들으면서,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말을 할 수 있게 해준대로, 나도 그들에게 나의 말을 할 수 있게 되는 그런 것이다. 예를 들면, 한 팀파니 연주자는 아무 생각없이, 그저 정확하게 박자 수만 세고 있다가, 혹은, 지휘자가 그에게 신호를 해주는대로만, 연주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계속해서 그 오케스트라가 펼쳐 내고 있는 음악적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가, 지금 무슨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나름대로 이해하고 있는대로의 이야기를 함께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함께 연주한다는 것은 우리가 함께 살아나가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서로에게 귀를 기울이고, 이 세상에 공존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한다는 것이다. ' 귀기울인다'는 말은 문자 그대로의 뜻만은 아니다. 그것은 서로 대화하고 이해하고 결국은 사랑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한다는 뜻이다. 그냥,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고 말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의 한 구성원으로서,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노력의 결과, 서로를 돌보면서 함께 살아가게 되는 그런 일이다.
12월 23일,
집으로 돌아 오는 길, 댄버와 수 폴즈 사이의 비행기 안에서...
As members of an orchestra, we don't happen to play "together" because we are in the same tempo, dictated by a conductor. Instead, we actually pay attention to each other, listen to whoever that has something to say, able to express ourselves because others would listen and allow you to speak. For example, the timpani does not start playing his part because he counted the correct number of blank.measures, or because the conductor cued him. Instead, he continues the musical story that has been unfolding by others by knowing what has been told and how it's been told as a result of tentative listening.
Playing together means we listen to each other, just what we have to do to live together, to co-exist in this world. "Listen" doesn't just mean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 It means we do everything we can to communicate, understand, and ultimately love each other. Not because he or she happens to look a certain way or say a certain thing, but because as members of this world, we actually pay attention to each other and care for each other so we can live together.
-In the flight back home, somewhere between Denver and Sioux Falls.
한 오케스트라의 멤버로서 연주한다는 것은 그저, '함께' 앉아서, 같은 템포로 한 지휘자의 지시대로만 연주한다는 것만이 아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무엇인가 할 말이 있는 사람이 하고 있는 말을 주의깊게 들으면서,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말을 할 수 있게 해준대로, 나도 그들에게 나의 말을 할 수 있게 되는 그런 것이다. 예를 들면, 한 팀파니 연주자는 아무 생각없이, 그저 정확하게 박자 수만 세고 있다가, 혹은, 지휘자가 그에게 신호를 해주는대로만, 연주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계속해서 그 오케스트라가 펼쳐 내고 있는 음악적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가, 지금 무슨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나름대로 이해하고 있는대로의 이야기를 함께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함께 연주한다는 것은 우리가 함께 살아나가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서로에게 귀를 기울이고, 이 세상에 공존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한다는 것이다. ' 귀기울인다'는 말은 문자 그대로의 뜻만은 아니다. 그것은 서로 대화하고 이해하고 결국은 사랑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한다는 뜻이다. 그냥,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고 말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의 한 구성원으로서,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노력의 결과, 서로를 돌보면서 함께 살아가게 되는 그런 일이다.
12월 23일,
집으로 돌아 오는 길, 댄버와 수 폴즈 사이의 비행기 안에서...
As members of an orchestra, we don't happen to play "together" because we are in the same tempo, dictated by a conductor. Instead, we actually pay attention to each other, listen to whoever that has something to say, able to express ourselves because others would listen and allow you to speak. For example, the timpani does not start playing his part because he counted the correct number of blank.measures, or because the conductor cued him. Instead, he continues the musical story that has been unfolding by others by knowing what has been told and how it's been told as a result of tentative listening.
Playing together means we listen to each other, just what we have to do to live together, to co-exist in this world. "Listen" doesn't just mean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 It means we do everything we can to communicate, understand, and ultimately love each other. Not because he or she happens to look a certain way or say a certain thing, but because as members of this world, we actually pay attention to each other and care for each other so we can live together.
-In the flight back home, somewhere between Denver and Sioux Falls.
One little snowman, two excited kids, one exhausted dad.
온아침,
시카고 공항의 눈사태로 출발 취소되어
하루 늦게 루트를 바꾸고 중간에 댄버에서 하룻밤 자 가며 고생한 끝에
드디어 재회한
찐빵 아빠네 안경가족 사진~~~ㅎㅎ
'태오네 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서른 몇 번째 생일에 / 태오애비 페북에서 (0) | 2013.05.05 |
---|---|
Here Comes the Sun (0) | 2013.03.20 |
2년 만의 첫 무대/ 태오에비 페북에서 (0) | 2012.12.07 |
바지 이야기 / 태오에비 페이스북에서 (0) | 2012.11.28 |
앉아서 작은 동작으로 지휘하기 (0) | 2012.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