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Belle Dame Sans Merci(무자비한 그 미인)/ 태오에비 페북에서
La Belle Dame Sans Merci
La Belle Dame Sans Merci
http://www.youtube.com/watch?v=jJmkC0BTw6I
I was listening to the above youtube link the whole time I was writing this...you might like it too...
(우리말로도 번역해서 올리고 싶었는데...쓰고보니 하루가 다 갔네요. 언젠가 시간이 허락하면 꼭 하겠습니다).
Inspiration
I was stressed all weekend. Another paper to write, so many books to look through to be 'educated' in what I had to write in the paper...In the course of reading about composers and their music written in the Soviet Union/Poland/Hungary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I came across this song, "La Belle Dame Sans Merci" (The Beautiful girl with No Mercy") by a composer named Valentin Silvestrov. It was written in the same year I was born (197x) on a poem with the same title by the English Romantic poet from back in 1819, John Keats.
One of the many problems I have after the stroke has been a psychological one, maybe more serious than the physical problems. I couldn't get motivated and inspired by music...or any form of arts, like the way I used to. It felt as if nothing mattered to me anymore, bitter and cynical towards everything. It probably is the worst part of having a chronic problem...it changed my personality from being the loudest guy in the room, cheerful, funny, outgoing, and happy...to this grumpy old man sitting in the corner of the bar by himself, cursing the world and everything in it.
Last night, I was deeply moved, touched, inspired by this music and poetry, read about the poem and John Keats, as I was listening to the song over, and over again. It was as if it all came back to me, why I became a musician, how I fell in love with music, how I used to tell my mother I wanted to be a poet/writer when I was a little boy.
John Keats was one of the big six Romantic poets along with people like William Wordsworth and Lord Byron. The Romantic period was a reaction to the obsession with order, rationality, and scientific precision of the 18th century. The Romantic writers felt that the Enlightenment - thinkers were missing the point of what it meant to be human; full of mistakes, unpredictable, passionate and vulnerable to things such as love or obsession...
Keats died when he was 25. 25!!! When he found out that he was dying from Tuberculosis (at the time, it was a death sentence) which he probably caught when he was nursing his brother who died from it, he was just beginning to make a breakthrough in his writing, starting to write what he was truly capable of writing. He asked that his grave bear only these words - "Here lies one whose name was written in water", he thought his life was too short to be memorable and that he did not live up to what he could have become...so that his name would be soon forgotten and disappear as if it was written in water.
He was wrong, very wrong. He is now celebrated as one of the most famous English poets to have ever lived.
The Poem
It was written toward the end of Keats' life, 1819. 49 lines including the title. It begins with a question as the speaker of the poem comes across a 'knight at arms' (an armed knight), lying in the fields, apparently dying alone - "what happened to you?". The knight's answer takes up the rest of the poem. He says that he met a lady (a 'fairy's child', suggesting that they belong to completely different worlds and their love is doomed from the get go) and fell in love so hopelessly and helplessly, made her a garland, a bracelet, and a fragrant zone. Let her ride on his steed, when she said 'I love thee true' in her strange fairy language. When the girl kisses him, he falls asleep, a coma, where he has a nightmare and sees all the kings, princes and knights that were previously seduced by the girl...they were all dead. When he woke up from the dream, he finds himself lying on the cold side of the hill, dying...which is when the speaker of the poem found him.
It is never clear what the girl did to kill the knight, at least physically. It is clear, however, the girl abandoned him mercilessly and the knight's heart is broken...so much so that he is not able to live on.
I found a terrific website which is where I read and learned about all this;
http://www.shmoop.com/la-belle-dame-sans-merci/
The website offers a line by line analysis and gives a clear meaning to the whole poem, suggests things to think about...I spent hours reading from it deep into last night. The poem is found on the website in its entirety.
The music...(youtube link in comment below)
By the time Silvestrov was writing this song, it was pretty much "anything goes" in terms of compositional style, techniques, methods, means of expression, sound, etc etc. It was long after Ligeti's "Poème symphonique" (1962) where the audience sits in a concert hall listening to one hundred metronomes start at once and eventually wind down to silence. A year ago, I went to a concert in Montreal where the Montreal Symphony played this piece. A hundred high school students with metronomes in their hands entered the stage and placed the metronomes on the music stands, simultaneously started the metronomes as the famous conductor Kent Nagano gave them a signal - probably the hardest piece of music to conduct. (Just kidding). The audience just sat there and listened to 100 metronomes ticking at different speeds, a massive noise that eventually died away, leaving a single metronome at the end that also gave way to silence. Quite a spiritual experience even though what was going to happen was obviously foreseeable - silence.
It was more than 20 years later than John Cage had his big hit 4'33'' (1952) performed, where any combination of musicians (instruments) just sit there and not play a single note for the entire duration of the piece. (4 minutes and 33 seconds). Not to mention that it was WAY later than Schoenberg started writing 12-tone music, where there is little or no "tonality". (If you are reading this and are not a musician, please try listening to something like http://www.youtube.com/watch?v=BPQU05tfzqQ (1906) or http://www.youtube.com/watch?v=xyHIG5rxo7s (1936?)
Considering what had already happened i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here we have someone who is writing something totally whack, completely 'out of date' (I don't think it is, but you know what I mean). He says "I do not write new music. My music is a response to and an echo of what already exists". He is looking back, through centuries of time, to John Keats (1795-1821), who is also looking back, through centuries of time again, to the French poet Alain Chartier (1385-1430), who wrote about knights and fairy ladies in his medieval romances, thus the French title "La Belle Dame Sans Merci" for an English poem.
I am sure this is nothing new. People looking back and writing music completely tonal, even modal, post-modernism or neo-classicism, whatever it may be labeled, is not what really captivates me. It is the theme of this poem, expressed through words and music, being abandoned by the one you love. The knight gets abandoned and left on a "cold hill's side," even though he appears to be at death's door. The beautiful fairy lady, we know from the title, is "sans merci," or merciless. She abandons him without pity, and the knight's solitude becomes the framing image of the poem. Such despair and pain so strong that it is beautiful and inspiring. Especially for me, personally, after having gone through what I have, touches me deep inside somewhere in my soul, I pity the knight...just as though I pity myself, looking back at my youth and health I once had.
Some say the lesson to be learned from this poem is the danger of "obsession". No matter what it is, good or bad, being obsessed with something can result in a miserable end...even being completely obsessed with beauty, not to mention drugs, sex, or food...We could probably insert any of those words in place of "Dame" and it would make complete sense...
*******************************************************
어설프지만, 나는 나대로 또 번역해 본다...
********************
이 글을 스는 내내 저 Youtube 링크를 듣고 있었다. 여러분들도 좋아하실 듯...
Inspiration 영감
지난 주말엔 소비에트 유니온, 폴란드, 항가리의 20세기 후반 작곡가들과 그 음악에 대한 글들을 읽는 코스에서 다른 페이퍼 하나를 쓰기 위해 온통 자료들을 뒤지며 '공부'하던 와중에, 이 노래, "La Belle Dame Sans Merci"(무자비한 그 미인)을 만나게 되었다. 이 곡은 Valentin Silvestrov라는 작곡가가 내가 태어났던 197x 년에 썼던 것으로, 1819년,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Jhon Keats가 같은 제목으로 썼던 시에 곡을 붙인 것이다.
뇌졸증 후에 생긴 많은 문제들 중의 하나는 심리적인 문제였다. 아마, 신체적인 문제보다 더 심각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음악이든, 혹은 어떤 예술에 의해서든, 내가 예전처럼 동기유발이나 영감을 받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만성병의 문제 중에서도 가장 좋지 않은 부분인 듯, 내 성격도 변해 가는 것 같았다. 모든 것에 대해 씁쓸하기만 하고 냉소적으로 되어서, 어디서든 가장 떠들썩하고 쾌활하고 잘 웃기고 행복하기만 했던 아이가 바아 한 구석에 혼자 웅크리고 앉아서 세상과 그 안의 모든 것에 대해 그저 저주나 하고 있는 노인네가 되어 가는 듯했다.
어젯밤엔, 이 음악과 시에 매우 깊은 감동을 받아서 죤 키이츠와 그의 시에 대한 글들을 읽었다. 이 노래를 계속 다시 듣고 또 들으면서, 나는 내가 왜 음악가가 되었고, 음악과의 사랑에 빠졌던지, 어릴 적, 어머니에게 내가 왜 커서 시인이나 작가가 되겠다고 말하곤 했던지를 알 것 같았다.
존 키이츠는 윌리엄 워즈워드, 로드 바이런 등과 더불어, 낭만주의 6대 시인의 한 사람이다. 낭만주의시대는 18세기의 질서와 합리성, 과학적 정확성에의 몰입에 대한 반발로 생겼고, 낭만주의 작가들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이, 인간성의 포인트, 즉, 실수 투성이이고 예측불가능하고 정열에 가득 차서 사랑에도 빠지고 중독에도 빠지고 하는 것이 인간이라는 것을 놓치고 있다고 생각했다.
키이츠는 25세에 사망했다. 25세라니 !!! 그가 자신이 결핵으로 죽어 가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는( 그 때 결핵은 사망선고였다. 그는 아마도, 결핵으로 죽었던 그 동생을 돌보고 있었을 때 결핵에 걸렸던 듯), 그가 진짜로 쓸 수 있게 된 것을 이제 막 쏟아내기 시작한 때였다. 그는 자신의 무덤에 이런 말만 써 달라고 하였다. "여기, 물 위에 그 이름을 쓴 자가 누워 있노라."라고... 그는 자신의 생애가 남들에게 기억되기엔 너무 짧았고, 자신이 되고자 하는 것에 이르기 전에 죽게 되었으니, 물 위에 쓴 이름처럼 곧 잊혀지고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의 생각은 틀려도 아주 많이 틀렸다. 그는 현재까지 살았던 영국의 가장 유명한 시인들 중의 한 사람으로 칭송되고 있지 않은가...
시(詩)
이 시는 키이츠 생애의 마지막 즈음이었던 1819년에 씌어졌다. 제목까지 합해서 49줄로, 이 시의 화자가 산기슭에서 홀로 죽어 가고 있는 무장한 기사를 만나 질문을 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 당신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거죠?" 시의 나머지 부분은 그 기사의 대답으로 되어 있다. 나는 한 여인을 만났어요. 그 여인은 요정의 아이였지요. (이 말에서 그들은 현실세계와는 완전히 다른 곳의 존재들임을, 그리고, 그 사랑은 잘 될 수 있는 사랑과는 거리가 먼 그런 운명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는 그녀를 자신의 말에 태우고 화관과 팔찌를 만들어 주고 향기로운 영역도 만들어 주며 돌이킬 수 없는 사랑에 빠져 들어 갔다. 그녀가 그에게 키스하며 그 이상한 요정의 목소리로, "그대를 진심으로 사랑하노라"라고 했을 때, 그는 잠이 들어 의식을 잃은 채 악몽을 꾸었다. 그 이전에 그녀에게 유혹되어 죽어 간 많은 왕들, 왕자들, 그리고 기사들이 보였고, 그가 그 꿈에서 깨어났을 때, 그는 이 차가운 언덕의 기슭에서 죽어 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그 시의 화자는 바로 그 때 그 기사를 만나게 되었던 것이다.
그녀가 그를 죽이기 위해 실제로 무슨 짓을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녀가 그를 무자비하게 버렸다는 것, 그는 사랑을 잃었고, 그래서 그가 더 이상 살아날 수 없었다는 것만은 분명했다.
이 모든 것들을 알게 해준 멋진 웹싸이트 하나가 있다.
http://www.shmoop.com/la-belle-dame-sans-merci/
이 웹싸이트는 이 시를 한 줄 한 줄 분석하고 시 전체의 의미를 제시하면서 우리가 생각해 볼 문제들도 이야기하고 있다. 나는 어젯밤 늦게까지 오랜 시간 그것을 들여다 보았다. 시의 전문은 거기에 실려 있다.
음악(아래에, youtube 링크 코멘트 있음)
Silvestrov가 이 곡을 쓰고 있었을 때는 작곡의 스타일, 기법, 방법론, 표현수단, 등등, 어떤 것에서든 무엇이든 '하면 되는 것'으로 통하는 때였다. 그것은 Ligeti가 백 개의 메트로놈이 한꺼번에 울리기 시작하여 차차 그 소리가 사라지는 '교향시Poème symphonique'(1962)라는 것을 쓴 지도 한참 지났을 때였다. 일년 전, 나도 몬트리얼의 한 음악회에서, 몬트리얼 심포니가 그 곡을 연주하는 것을 들었다. 백 명의 고등학생들이 메트로놈을 들고 무대로 들어 와서 그 유명한지휘자 Kent Nagano의 신호에 따라 동시에메트로놈이 작동을 시작했다.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지휘(그냥, 농담임 ㅎ)를 그는 하고 있었다. 청중들은 가만히 앉아서 백 개의 메트로놈이 각기 다른 속도로 틱톡거리는 엄청난 소음이 한참 계속되다가 점점 줄어 들어 마지막에 하나만 남았다가, 마침내 그 소리마저 침묵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듣고 있었다. 그 소리들이 결국, 침묵 속으로 빠져 들어갈 것이라는 걸 누구나 예측할 수 있었지만, 그것은 상당히 영적인 경험이었다.
그것은 John Cage가 그의 4'33'' (1952)로 빅 히트했던 것보다도 20년 후의 일이었다. 그 곡도 연주자들과 악기들이 무대에 들어와 앉아 있으면서 4분 33초 동안을 어떤 음도 연주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Schoenberg가 12-tone을 썼던 것보다도 훨씬 뒤의 일이었다는 건 말할 것도 없다. 그 곡에서도, 우리는 아무런 음조 같은 것을 들을 수가 없다. 이 글을 읽는 분들 중에 음악을 하지 않는 분은 http://www.youtube.com/watch?v=BPQU05tfzqQ (1906) 혹은, http://www.youtube.com/watch?v=xyHIG5rxo7s (1936?) 같은 곳에 가서 들어 보시기를...
서양음악사에서 있어 온 일들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여기서 한 별난, 유행이 완전히 지난(나는 그렇게 생각하지는 않지만, 나의 말뜻을 알고 계시리라.) 음악을 쓰고 있는 사람을 보고 있다. 그는 "나는 새 음악을 작곡하지 않는다. 내 음악은 이 세상에 이미 있어 온 것들에 대한 나의 반응, 메아리들이다." 라고 말한다. 그는 그보다 수백 년을 앞선 죤 키이츠(1795-1821)를 돌아 보고 있고, 죤 키이츠는 다시, 그보다 수백 년을 앞서서 중세기의 기사들과 요정 여인들에 대한 시를 썼던 프랑스 시인 Alain Chartier (1385-1430)을 돌아 보고 있다. 키이츠가 그래서, 영국 시에다가 프랑스어 제목, "La Belle Dame Sans Merci" 를 붙였던 것이다.
이런 일은 새로운 일도 아니다. 나를 사로잡는 것은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신고전주의 등, 어떤 이름으로든 간에, 사람들이 뒤를 돌아본다든가, 완전히 음조적인, 심지어 양식적인(Modal) 음악을 쓰기도 한다든가 하는 것이 아니고, 이 시의 주제, 즉, 언어와 음악으로 표현된, 자신이 사랑하는 어떤 것으로부터 버림받는다는 것이다. 기사는 죽음의 문 앞에 서 있는 상태인데도, 차가운 언덕 기슭에 버려진다. 그 아름다운 여인, 제목에서 알 수 있는 그 여인은 "sans merci," 무자비하다. 그녀는 무자비하게 그를 버리고 있으며, 기사의 고독이 이 시를 이끄는 주제라는 것이다. 절망과 고통이 너무도 극심하여 아름다움과 영감을 주고 있다는 것, 그것이 나를 사로잡는다. 특히, 개인적으로 내가 겪어 온 일들을 돌아보며, 내 영혼 깊은 어떤 곳에 와닿으면서, 나는 그 기사를 동정하고 있다...마치, 한 때 내가 가졌던 젊음과 건강을 돌아 보며 나 자신을 동정하듯...
어떤 이들은 이 시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렛슨은 중독의 위험성이라고 말한다.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어떤 것에 중독된다는 것은 비참한 결말을 가져 온다는 것...약물이나 색스, 혹은 음식물에 중독되는 건 말할 것도 없고, 아름다움에 중독되는 것도 마찬가지라는 것...하긴, "DAme"이라는 말 대신에 어떤 다른 말을 넣어도 그 뜻은 완전하게 통하기는 할 것이다....
***************************
에비가 한국말로도 다시써서 올렸네요.
더 적절한 번역(이라기보다 번안)도 그렇고,
훨씬 더 친절한 설명까지 곁들여서..
제목도, '아름답고 무심한 그녀'라고 했네요. 사실, '무자비한'은 너무 무자비하지요? ㅎ
글이 너무 길어지지만, 관심 있으신 분들은 더 읽어 보시길...^^
************
Inspiration 영감
주말 내내 우울했다. 기압이 낮고 흐린 날씨는 나를 상당히 어지럽게 하는데다가, 월요일까지 내야하는 페이퍼를 쓰기위해 대충이라도 훑어봐야할 책들이 산더미였다. 20세기 중후반 구소련, 헝가리, 폴란드 작곡가들과 그들의 작품에 대해서 공부하던 중에 Valentin Silvestrov라는 (1937- ) 작곡가가 내가 태어나던 197x년에 John Keats라는 영국 낭만주의 시인이 1819년에 쓴 "La Belle Dame Sans Merci" (아름답고 무심한 그녀)라는 시에 곡을 붙인 노래를 듣게 되었다.
뇌경색 이후에 앉고 살게 된 많은 증상들 중에 사실 가장 견디기 힘든 것은 심리적인 것이었다. 음악뿐 아니라 그 어떤 예술작품에서도 예전과 같은 영감을 얻을 수가 없었다. 모든게 의미없고, 귀찮고, 덧없을 뿐 아니라 자꾸 삐딱해지고 모든게 우습게 느껴지는...예전의 활달하고 농담 좋아하고 왁자지껄 친구들과 어울리기 좋아하던 모습은 점점 사라지고, 술집 구석에 앉아서 혼자 세상을 저주하고 점점 우울해지고 있었다.
어제밤 이 노래와 시는 정말 오랜만에 점점 잊혀져가던 열정을 일깨웠다. 노래를 수없이 반복해서 듣고 Keats의 시에 대해 읽으면서 아주 오래전, 처음 음악의 아름다움에 눈뜨고 시와 문학 작품들을 접하면서 나름 시인/작가가 되고 싶어하던 어렸을 때의 그 기억들이 되살아났다. 평생 글을 읽고 쓰는게 업이셨던 부모님의 영향이었을까, 나는 음악을 공부했지만 항상 좋은 글과 시를 동경했다.
John Keats는 William Wordsworth, Lord Byron같은 사람들과 더불어 영국의 6대 낭만 시인중 한사람이었다. 낭만주의는 18세기의 질서와 합리성, 과학적 정확성에의 몰입에 대한 반발로 생겼고, 낭만주의 작가들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이 인간이란 존재의 나약함, 예측불가능하고 정열에 가득 차서 사랑에도 빠지고 중독에도 빠지고 하는, 우주의 질서와 합리로 간단히 설명할 수 없는 면들을 간과했다고 생각했다.
Keats는 스물 다섯에 죽었다. 스물 다섯!! 아마도 결핵으로 죽은 동생을 간호하다가 자신도 감염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그 병은 그 당시에 사망선고와도 같았다. 자신이 결핵으로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쯤 Keats는 자신의 진정한 문학적 재능을 막 발견하고 주옥같은 글들을 쓰기 시작하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묘비에 "이곳에 묻힌 자의 이름은 물로 씌여졌노라" 라고만 써주길 부탁했다. 그는 자신의 삶이 너무 짧았고 작가로서의 꿈과 능력을 펼쳐보지도 못하고, 마치 물위에 씌여진 것 처럼 자신의 이름은 쉽게 잊혀지고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의 생각은 빗나갔다. 그는 역사속에서 가장 유명한 영국 시인중 한사람으로 기억되고 있다.
The Poem 詩
이 시는 Keats가 죽기 2년 전에 (1819) 씌여졌다. 제목을 포함에 49행이 되는 이 시는 늦가을 추운 벌판의 언덕 한쪽에 누워서 죽어가고 있는 기사를 발견한 시 속 화자의 질문으로 시작된다. "왜 이곳에서 혼자 죽어가고 있소?". 기사의 대답이 시의 나머지를 이룬다. 그는 "어떤 아름다운 요정의 딸" (서로와 완전히 다른 세상에 속하는, 애초에 이루어질 수 없는 사이임을 암시 - 인간과 요정)을 만나서 사랑에 빠졌고, 그녀를 위해 향기로운 꽃으로 왕관과 팔찌를 만들어 씌여주고, 자신의 말에 태우기도 했다고, 그녀가 요정의 언어로 자신에게 사랑을 고백했다고 이야기한다. 그녀의 입맞춤은 기사를 깊은 잠에 빠지게 하고, 기사는 끔찍한 악몽을 꾼다 - 그녀와 이전에 사랑에 빠졌던 수없이 많은 왕들, 왕자들, 기사들을 보게 되는 악몽 - 그들은 모두 죽어 있었다. 악몽에서 깨어난 기사는 언덕 한쪽에 누워 죽어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요정이 무엇을 어떻게 했기에 기사가 죽어가게 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확실한 것은 그가 무자비한 그녀에 의해 가차없이 버렸졌고, 실연의 충격이 너무나 컸던 기사는 더이상 살아갈 수가 없었다.
혹 시의 전문이 궁금하면 아래의 왭사이트에 꼭 가보시길...
물론 다 영어로 되어 있지만, 시의 전문을 한줄한줄 자세히 설명하고, 이런저런 생각해볼 꺼리들을 제공하는...어제 밤늦게까지 굉장히 흥미롭고 많은 걸 읽은 좋은 왭사이트이다.
http://www.shmoop.com/la-belle-dame-sans-merci/
The music...(youtube link in comment below)
Silvestrov가 이 곡을 쓸 때 쯤에는 이미 음악사적으로 "볼장 다본, 해볼거 다 해본" 때였다. 음악의 의미 자체는 물론, 작곡이라는 행위의 본질과 한계에 대한 수많은 시도와 재탐색, 재발견..."이걸 음악이라고 해야하나?"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수많은 음악가들이, 작곡가들이 그야말로 음악예술이라는 영역의 한계를 체험한 후였다. 예를 들어 작년 이맘때 쯤에 몬트리올에 몬트리올 심포니의 연주를 들으러 갔다가 Ligeti 라는 작곡가의 "Poème symphonique" (1962) 라는 곡을 들었다. 그런 곡이 있다는건 책에서 읽어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공연되는 것을 본건 처음이었다. 무대위에는 오케스트라를 위한 의자와 보면대들이 준비되어 있었지만, 오케스트라 단원들 대신 각자 손에 메트로놈을 하나씩 든 고등학생 100명이 걸어 들어 나와 각자의 메트로놈을 보면대 위에 올려놓고 태엽을 (요즘 흔히 보는 전자식 메트로놈이 아니였다) 끝까지 감고 기다리다가 켄트 나가노 (유명한 지휘자, 몬트리올 심포니 상임 지휘자)의 신호가 떨어지자 일제히 메트로놈들을 틀어 놓고 조용히 무대의 가장 뒤쪽 벽으로 걸어가 일렬로 늘어섰다. 서로 다른 속도로 딱딱거리는 100개의 메트로놈들이 태엽이 다 풀려 조용해질 때까지 연주장을 꽉 채운 삼천명의 청중들은 숨을 죽여 듣고 있었다. 점점 작아진 끝에 서너개만이 남고, 결국은 마지막 하나 남은 메트로놈이 정적에 묻힐 때까지 가만히 앉아 감상(?)하는건 뭔가 영적인 경험이기도 했다.
Silvestrov가 이 노래를 쓰기 20년도 더 전인 1952에는 John Cage라는 작곡가가 "4분 33초"라는 곡을 공연했다. 4분 33초 동안 무대 위에 그냥 가만히 앉아 있다가 끝나는 곡이었다. 뿐아니라 쇤베르크라는 작곡가가 수세기 동안 서양음악의 근간을 이루어 온 조성을 파괴하고 "12음 기법"이라는 혁명에 가까운 시도를 한 후로도 수십년이 지난 때였다.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 중에 음악과 음악사에 그리 익숙치 않은 분이 계시다면 http://www.youtube.com/watch?v=BPQU05tfzqQ (1906)나 http://www.youtube.com/watch?v=xyHIG5rxo7s (1936?)를 꼭 들어보시길...
참고로, 12음 기법은 우리에게 익숙한 조성음악 ("도"가 제일 중요하고 그 다음 "솔", 그 다음은 "파"가 중요한...한옥타브내의 12개 음들 간에 "계급"이 매겨진)과는 완전히 다른, 12개의 음들이 모두 똑같이 중요하다는, 말하자면 음악안에서의 계급타파! 라고 할 수 있겠다...
음악사적으로 이미 일어났던 일들은 돌이켜볼 때 이 Silvestrov라는 사람은 한마디로 완전히 골때린, 한물간 (그렇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여하간 유행이 지나도 한참 지난 골동품 같은 모자를 쓰고 외출한 듯한...) 음악을 쓰고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그는 구소련 연방의 작곡가들 (뿐 아니라 예술전반)에 대한 검열에 걸려서, 후지고 세련되지 못하다는 이유로 작곡가 협회에서 짤리는 등의 수모를 겪기도 했다. 그는 "나는 새로운 음악을 쓰지 않는다. 나의 음악은 이미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회상이고 메아리 같은 것이다"라고 말한다. (아직 생존, 1937년 키에프생). 그는 수십, 수백년의 세월을 거슬러 올라가 과거를 돌아보고 있다. 그가 노랫말로 사용한 Keats의 시 또한 수백년의 세월을 거슬러, 중세 때 기사들과 요정들에 대해 노래하던 Alain Chartier라는 (1385-1430) 프랑스 시인을 돌아본 결과이다. (영국인임에도 불어로 제목을 붙인 이유이기도 하다).
과거의 전통과 유산을 돌이켜 현재로 재소환하는 행위가 새로울 것이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조성음악의 체계가 확립되기 더 전에 사용하던 선법을 사용하는 작곡가도 있으니까. "신고전주의", "포스트모더니즘"...뭐라고 부르던 별로 관심 없다. 나를 사로잡고 영감을 준 것은 이 시와 음악의 주제가 되는 "사랑하는 사람으로부터 버림받는 고통과 그로인한 고독"이 너무 강렬하고 애절하여 아름답고 고결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제목에서와 같이, 그녀는 무자비하고 무심하다 (sans merci). 기사의 영혼은 갈래갈래 찢어져 홀로 죽어간다.
나는 기사를 동정한다. 특히 지난 3년간 겪어온 고통으로, 한때 가졌던 젊음과 건강을 동경하는 내 자신을 동정한다. 소련 사람이 소련말로 부르는 노래, 단한마디도 못알아듣지만, 왠지 구구절절히 와서 닿는다. 아름답다.
Some say the lesson to be learned from this poem is the danger of "obsession". No matter what it is, good or bad, being obsessed with something can result in a miserable end...even being completely obsessed with beauty, not to mention drugs, sex, or food...We could probably insert any of those words in place of "Dame" and it would make complete sense...
이 기사님들 어때요?
에미가 어제, 할로윈 카스튬을 저렇게 입혓네요. 중세기사님들? ㅎㅎ
엊저녁, 저 옷을 입고, 온동네를 "Trick or Treat~~~ !!" 외치며 다 돌고,
바구니 한가득, 캔디와 쿠키들을 얻어다 놓고, 아직 쿨쿨 자고 있을 시간이네요...ㅎ
하와이의 백설공주 다나 아가씨/할로윈 데이
^^